문제 설명
선물을 직접 전하기 힘들 때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해 축하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의 친구들이 이번 달까지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을 바탕으로 다음 달에 누가 선물을 많이 받을지 예측하려고 합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있다면, 이번 달까지 두 사람 사이에 더 많은 선물을 준 사람이 다음 달에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예를 들어 A가 B에게 선물을 5번 줬고, B가 A에게 선물을 3번 줬다면 다음 달엔 A가 B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선물 지수가 더 큰 사람이 선물 지수가 더 작은 사람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선물 지수는 이번 달까지 자신이 친구들에게 준 선물의 수에서 받은 선물의 수를 뺀 값입니다.
- 예를 들어 A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10개라면 A의 선물 지수는 -7입니다. B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2개라면 B의 선물 지수는 1입니다. 만약 A와 B가 선물을 주고받은 적이 없거나 정확히 같은 수로 선물을 주고받았다면, 다음 달엔 B가 A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만약 두 사람의 선물 지수도 같다면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지 않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규칙대로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을 때, 당신은 선물을 가장 많이 받을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들의 이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friends 이번 달까지 친구들이 주고받은 선물 기록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gif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다음달에 가장 많은 선물을 받는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2 ≤ friends의 길이 = 친구들의 수 ≤ 50
- friends의 원소는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길이가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이름이 같은 친구는 없습니다.
- 1 ≤ gifts의 길이 ≤ 10,000
- gifts의 원소는 "A B"형태의 문자열입니다. A는 선물을 준 친구의 이름을 B는 선물을 받은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며 공백 하나로 구분됩니다.
- A와 B는 friends의 원소이며 A와 B가 같은 이름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처음 시도한 코드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 friends_len은 배열 friends의 길이입니다.
// gifts_len은 배열 gifts의 길이입니다.
//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문자열은 const로 주어집니다. 변경하려면 문자열을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int solution(const char* friends[], size_t friends_len, const char* gifts[], size_t gifts_len) {
int answer = 0;
int i, j, h;
char name1[21]={'\0'}, name2[21]={'\0'};
int num1=0, num2=0; // 선물지수 비교
int *giftnum=(int*)malloc(friends_len * sizeof(int)); // 선물을 받는 양
if (giftnum == NULL) return 0; // 동적할당 실패
for (i = 0; i < friends_len; i++) {
giftnum[i] = 0;
}
for(i=0; i<friends_len; i++){
for(j=i+1; j<friends_len; j++){
//friends[i] friends[j] 비교 (4명이라고 치면, A B > A C > A D > B C > B D > C D)
strcat(name1, friends[i]); // name1 뒤에 friends[i]을 붙임
strcat(name1, " ");
strcat(name1, friends[j]);
strcat(name2, friends[j]);
strcat(name2, " ");
strcat(name2, friends[i]);
for(h=0; h<gifts_len; h++){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있는지 검사
if(strcmp(gifts[h], name1)==0) num1++;
else if(strcmp(gifts[h], name2)==0) num2++;
}
if(num1>num2) giftnum[i]++;
else if(num1<num2) giftnum[j]++;
else{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num1=0;
num2=0;
for(h=0; h<gifts_len; h++){ //준 갯수
if(strncmp(gifts[h], friends[i], strlen(friends[i]))==0) num1++;
else if(strncmp(gifts[h], friends[j], strlen(friends[j]))==0) num2++;
}
for(h=0; h<gifts_len; h++){ //받은 갯수
if(strncmp(strchr(gifts[h], ' ')+1, friends[i], strlen(friends[i]))==0) num1--;
else if(strncmp(strchr(gifts[h], ' ')+1, friends[j], strlen(friends[j]))==0) num2--;
}
if(num1>num2) giftnum[i]++;
else if(num1<num2) giftnum[j]++;
}
num1=0;
num2=0;
name1[0] = '\0'; // 배열 내용 지움
name2[0] = '\0'; // 배열 내용 지움
}
}
for(i=0; i<friends_len; i++){
if(giftnum[i]>answer) answer = giftnum[i];
}
free(giftnum); // 동적 메모리 해제
return answer;
}
코드를 복붙하니 티스토리 상에서 줄맞춤이 중구난방됐는데 일일이 수정하기는 귀찮다... 코드블럭 내에서는 정상적으로 보이는데 글로 볼때는 이상하게 보이네요.
위에 있는 입출력 예 3가지를 테스트해보았을 땐 제대로 작동했는데 실제로 제출해보니 성공률이 90%였다.
왜 실패하는지 고민해보면서 입출력 예를 추가하며 테스트해본 결과,
friends = {"a", "b", "c"}, gifts = {"a b", "a b", "b a", "c a", "a c", "a c", "c a", "a b", "a b"}
friends = {"a", "ab", "ac"}, gifts = {"a ab", "ab a", "ac a", "a ac", "a ac", "ac a", "a ab"}
테스트 케이스가 이럴 때, 둘다 같은 사례니 2를 리턴해줘야 하는데 아래는 3이 리턴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strncmp로 문자열을 비교하다 보니 friends[i]나 friends[j]가 끝나는 부분까지만 비교하게 돼 다른 문자열임에도 불구하고 앞 글자가 다르니 a, ab, ac 모두 같다고 인식하는 것 같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gifts 배열에 있는 문자열을 giver, receiver 로 *파싱해 비교했다. (*자르는, 토큰화하는)
#include <stdio.h>
#include <stdbool.h>
#include <stdlib.h>
#include <string.h>
// friends_len은 배열 friends의 길이입니다.
// gifts_len은 배열 gifts의 길이입니다.
//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문자열은 const로 주어집니다. 변경하려면 문자열을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int solution(const char* friends[], size_t friends_len, const char* gifts[], size_t gifts_len) {
int answer = 0;
int i, j, h;
char name1[21]={'\0'}, name2[21]={'\0'};
char giver[11], receiver[11];
int num1=0, num2=0;
int *giftnum=(int*)malloc(friends_len * sizeof(int));
if (giftnum == NULL) return 0; // 동적할당 실패
for (i = 0; i < friends_len; i++) {
giftnum[i] = 0;
}
for(i=0; i<friends_len; i++){
for(j=i+1; j<friends_len; j++){
//friends[i] friends[j] 비교
strcat(name1, friends[i]); // name1 뒤에 friends[i]을 붙임
strcat(name1, " ");
strcat(name1, friends[j]);
strcat(name2, friends[j]);
strcat(name2, " ");
strcat(name2, friends[i]);
for(h=0; h<gifts_len; h++){
if(strcmp(gifts[h], name1)==0) num1++;
else if(strcmp(gifts[h], name2)==0) num2++;
}
if(num1>num2) giftnum[i]++;
else if(num1<num2) giftnum[j]++;
else{
num1=0;
num2=0;
for(h=0; h<gifts_len; h++){ //선물지수 계산
sscanf(gifts[h], "%s %s", giver, receiver);
if(strcmp(giver, friends[i])==0) num1++;
else if(strcmp(giver, friends[j])==0) num2++;
if(strcmp(receiver, friends[i])==0) num1--;
else if(strcmp(receiver, friends[j])==0) num2--;
}
if(num1>num2) giftnum[i]++;
else if(num1<num2) giftnum[j]++;
}
num1=0;
num2=0;
name1[0] = '\0'; // 배열 내용 지움
name2[0] = '\0'; // 배열 내용 지움
}
}
for(i=0; i<friends_len; i++){
if(giftnum[i]>answer) answer = giftnum[i];
}
free(giftnum); // 동적 메모리 반환
return answer;
}
최종 코드
sscanf(gifts[h], "%s %s", giver, receiver);
이게 gifts[h]에서 문자열 2개를 읽어서 각각 giver, receiver에 저장시켜준다는 의미
sscanf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파싱하는 법을 모르니 처음 시도대로 했는데, 검색해서 알아냈다. 확실히 결과도 잘 나오고 보기도 더 편해진듯
어떻게 구현할지는 혼자 틀 잡는 데 성공했지만, 실제로 구현하려니 이리저리 검색의 힘을 많이 빌었다.
시간은 약 2시간 동안 푼듯.
실제로 대회 나가서는 개념 검색이 안 될 테니 거기 나간 사람들은 대단한 것 같다.